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국 법원, AI 생성 예술에 대한 저작권 거부

글로벌 아트 뉴스

by 닷티브 Dot+Creative 2025. 3. 31. 17:04

본문

 


미국 법원, AI 생성 예술에 대한 저작권 거부

U.S. Court Rejects Copyright for AI-Generated Art


 

 

 

2025년 3월, 미국 워싱턴 D.C. 연방 항소법원은 AI가 자율적으로 창작한 예술작품에 대해 저작권 보호를 인정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렸어요. 이 판결은 컴퓨터 과학자 스티븐 테일러(Stephen Thaler)가 자신의 AI 시스템인 ‘Creativity Machine’이 만든 그림 “A Recent Entrance to Paradise”에 대한 저작권을 신청하면서 시작된 사건이에요.

 

법원은 저작권법이 전제하는 “저작자”는 반드시 인간이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요. 테일러는 이 AI가 감각을 지닌 창작 주체라고 주장했지만, 항소심 재판부는 기존의 연방법원 판례를 재확인하며 그의 청구를 기각했어요.

 

이번 판결은 AI가 단독으로 창작한 콘텐츠에 대해 법적으로 ‘작가’로 인정받을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했어요. 저작권청 역시 인간이 개입하지 않은 창작물은 등록이 불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요. 다만 인간이 AI를 도구로 활용한 경우에는 저작권 등록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어요.

 

📌 출처:

Reuters

 


 

최근의 동향은 어떨까?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일본 등지에서도 AI 창작물의 법적 권리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어요.

생성형 AI의 발전과 함께, 예술·디자인 업계는 저작권 기준 재정비를 요구하고 있어요.

아트페어, 전시기관, 경매시장에서는 AI 작가의 작품을 실제로 거래하면서도 법적 보호는 불확실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어요.

 

 

관련 통계 및 수치를 알아보자!

2024년 기준 AI 아트 경매 거래 총액: 약 3억 달러

2025년 1분기, 미국 저작권청에 접수된 AI 창작 관련 저작권 신청 건수: 약 1,200건 (이 중 승인된 사례는 5% 미만)

 

 

 핵심 포인트와 향후 변화

법원은 저작권 보호의 전제를 “인간 저작자”에 두고 있어요.

 AI는 여전히 도구로 간주되고 있으며, 자율 창작자로서의 권리는 인정받고 있지 않아요.

 향후 AI의 법적 주체성, 작가성 인정 여부는 대법원까지 갈 수 있는 핵심 이슈가 될 가능성이 있어요.

 기술 발전 속도에 비해 법 제도는 여전히 보수적으로 반응하고 있어요.

 


 

기사 속에서 쓰인 용어, 

영어 & 중국어로 어떻게 쓰이는지 한 번 알아보자!

 

 

 

1. Human authorship (인간 저작자)

  人类作者 (rénlèi zuòzhě)

 

원본 기사 속 문장

“Only works created by human authors are eligible for copyright protection.”

AI의 창작물은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요.

 

 

 

2. Autonomous creation (자율 창작)

     自主创作  (zìzhǔ chuàngzuò)

 

원본 기사 속 문장

"The artwork was created entirely through autonomous AI processes.”

인간 개입 없이 AI가 스스로 만든 창작물을 의미해요.

 

 

 

3. Legal recognition (법적 인정)

许可制度 (xǔkě zhìdù)

 

원본 기사 속 문장

“The court declined to grant legal recognition to AI as an author.”

AI가 법적 창작자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표현이에요.

 

 

 

4. Creativity Machine (크리에이티비티 머신)
 创造力机器 (chuàngzàolì jīqì)

 

 

원본 기사 속 문장

“The system used by Thaler is known as the Creativity Machine.”

스티븐 테일러가 개발한 AI 시스템 이름이자 이번 판결의 핵심 대상이에요.

 

 

 

5. Legal precedent (법적 판례)

法律先例  (fǎlǔ xiānlì)

 

 

원본 기사 속 문장

 “The decision upholds existing legal precedent regarding copyright.”

기존의 법적 기준을 유지하는 판결임을 나타내는 표현이에요.

 

 

 

6.U.S. Copyright Office (미국 저작권청)

美国版权局 (Měiguó bǎnquán jú)

 

 

원본 기사 속 문장 

“The U.S. Copyright Office had previously denied Thaler’s request.”

저작권 등록을 거부한 정부 기관으로, 이번 사건의 주요 배경이에요.

 

 

 

7. Ownership dispute (소유권 분쟁)

所有权争议 (suǒyǒuquán zhēngyì)

 

 

원본 기사 속 문장

“The case adds to a growing body of ownership disputes involving AI-generated work.”

AI 창작물의 권리가 누구에게 있는지를 둘러싼 분쟁을 의미해요.

 

 

 

8. Rejection (거부)

拒绝 (jùjué)

 

원본 기사 속 문장

“The court issued a formal rejection of Thaler’s appeal.”

법원이 저작권 신청을 기각했다는 판결 결과를 요약해요.

 

 

 

9. Authorial intent  (작가 의도)

作者意图 (zuòzhě yìtú)

 

 

원본 기사 속 문장

“The court questioned whether there was any authorial intent in the AI’s output.”

AI의 창작물에 의도성이 있는지를 따지는 기준으로, 저작권 판단의 핵심이 되고 있어요.

 

 


 

 

 

 

구독 후 매주 올라오는 아트/AI 뉴스를 만나보세요!

 

@dottiv.creative

인스타그램 / 스레드에서도 닷티브를 만날 수 있어요!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