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AI, 전통적인 아트페어의 경계를 허물다_ 아트바젤 홍콩

글로벌 아트 뉴스

by 닷티브 Dot+Creative 2025. 3. 21. 15:00

본문

 


AI, 전통적인 아트페어의 경계를 허물다

Art Basel Hong Kong에서의 실험적 디지털 아트 시도


 

Lu Yang, 'DOKU the Creator', 2025. Courtesy of the Artist and de Sarthe

 

 

2025년 Art Basel Hong Kong에서 중국 예술가 루양(Lu Yang)은 ‘Doku’라는 디지털 아바타를 활용한 작품을 전시하며 기존 아트페어의 형식을 탈피했어요. 이 작품들은 가상 공간에서 제작되어 ‘블라인드 박스’ 형태로 판매되었는데, 구매자는 작품을 받은 뒤에야 어떤 작업을 샀는지 알 수 있었죠!

 

이는 작품의 작가성출처에 대한 전통적인 관념을 흔들며, 예술 수집의 개념을 일종의 게임적 체험으로 전환시킨 사례에요. 루양은 불교 철학에서 영향을 받은 작품을 통해 기술, 영성, 그리고 현대 대중문화를 융합해 AI 시대 예술의 상업성과 정체성을 동시에 조명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Financial Times

The Art Newspaper,


 

최근의 동향은 어떨까?

• 중국의 AI 기반 아트 플랫폼들이 점점 글로벌 아트페어 시장에 진출하며, NFT 기반 작품 거래와 블록체인 등록을 병행하고 있어요.

• 메타(구 페이스북)는 최근 VR 기반 갤러리 시스템 개발로 AI 생성 예술을 ‘전시’의 형태로 실현하는 기술을 시도 중이에요!

 

 

관련 통계 및 수치를 알아보자!

• 2024년 기준 글로벌 AI 예술시장 규모: 약 14억 달러

• Art Basel 참가자 중 23%는 디지털 기반 작품만 수집한다고 응답 (ArtTactic, 2024 보고서)

 

 

 핵심 포인트와 향후 변화

 AI 예술은 전시 방식 자체를 재편하는 매체가 되고 있기도 해요.

 작가성의 개념이 인간 중심에서 알고리즘 기반 공동 창작으로 이동 중이에요

 향후 아트페어는 ‘디지털 경험’‘랜덤 수집’ 같은 개념이 더 확산될 가능성이 있어요.

 


 

기사 속에서 쓰인 용어,

영어 & 중국어로 어떻게 쓰이는지 한 번 알아보자!

 

 

 

1. Art fair (예술 박람회)

   艺术博览会 (yìshù bólǎnhuì)

 

원본 기사 속 문장

“At Art Basel Hong Kong, a pop-up store is redefining the traditional art fair experience.”

이 문장에서 “art fair”는 다양한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거래되는 오프라인 예술 행사로,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전통 형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2. Blind boxes (블라인드 박스) 

    盲盒(mánghé)

 

원본 기사 속 문장

“Collectors are drawn to the mystery of blind boxes, which conceal the contents until purchase.”

 이 문장에서 “blind boxes”는 구매자가 내용물을 모른 채 제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예술품 수집의 게임성과 상업성을 동시에 반영합니다.

 

 

 

3. Provenance (출처, 유래)

来源(láiyuán)

 

원본 기사 속 문장

“This approach blurs the lines of authorship and provenance.”

“provenance”는 예술 작품의 진위성이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 중 하나로,

디지털 작품에서 이 기준이 모호해질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4. Authorship (작가성)

作者身份(zuòzhě shēnfèn)

 

원본 기사 속 문장

“This approach blurs the lines of authorship and provenance.”

 “authorship”은 예술 작품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대한 개념으로,

AI 및 디지털 아바타가 작품을 제작하는 현상에서 그 경계가 흐려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5. Commercialization (상업화)

商业化 (shāngyè huà)

 

원본 기사 속 문장

“Prompting reflections on the future of art and its commercialization.

예술의 본질적인 가치와는 별개로, AI 예술이 수익성과 시장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6.Digital avatar (디지털 아바타)

数字化身 (shùzì huàshēn)

 

원본 기사 속 문장 

"Featuring works from Doku, a digital avatar created by Chinese artist Lu Yang.”

“digital avatar”는 가상의 존재가 예술을 창작하는 존재로 등장했음을 보여주며,

인간 창작자 중심의 구조를 넘어서는 변화를 드러냅니다.

 

 

 

7. Immersive experience (몰입형 경험)

沉浸式体验 (chénjìn shì tǐyàn)

 

원본 기사 속 문장

 “Art fairs are evolving into immersive experiences blending tech and emotion.”

 “immersive experience”는 관람객이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서

예술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감각 중심의 전시 방식 변화를 설명합니다.

 

 

 

8. Virtual realm (가상 공간)

虚拟空间 (xūnǐ kōngjiān)

 

원본 기사 속 문장

 “These artworks, crafted in a virtual realm, are sold in blind boxes.”

 “virtual realm”은 실제 공간이 아닌 디지털 환경에서 예술이 창작·거래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9. Algorithmic curation (알고리즘 큐레이션)

算法策展 (suànfǎ cèzhǎn)

 

원본 기사 속 문장

Algorithmic curation is shaping how digital galleries select their exhibits.”

“algorithmic curation”은 AI가 작품을 선택하고 배열하는 기능을 통해

인간 큐레이터의 역할을 일부 대체하고 있는 흐름을 설명합니다.

 

 

 

10. Spiritual integration (영적 통합)

灵性融合 (língxìng rónghé)

 

원본 기사 속 문장

“Lu Yang’s works reflect a spiritual integration of technology and Buddhist philosophy.”

“spiritual integration”은 기술과 종교적 세계관이 예술 속에서

융합되며새로운 표현 방식을 만든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구독 후 매주 올라오는 아트/AI 뉴스를 만나보세요!

 

@dottiv.creative

인스타그램 / 스레드에서도 닷티브를 만날 수 있어요!

관련글 더보기